원본 기사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97456 

 

오래된 프로토콜 득실거리는 기업 환경, 공격자들은 즐거운 비명

기업 10곳 당 1곳에는 오래되어 취약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MS의 SMB v1 프로토콜이 무시 못할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공격자들을 위한 침

www.boannews.com

"기업 10곳 당 1곳에는 오래되어 취약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비가 존재한다. 공격자들을 위한 침투 경로가 지천에 널려 있다는 것이다." 기사 中

기사에서는 SMB 프로토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서 해당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업들이 많다고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기업에서는 해당 프로토콜 이외에도 다양한 오래된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단적인 예로, 필자도 경험한 사례가 있었는데, 내부망이긴 하지만 윈도우XP를 사용하는 PC도 다수 존재했고, 대부분의 PC들이 서비스가 종료된 윈도우 7을 사용했다. 이는 기사에서도 언급하고 잇는데, 많은 조직들이 몇년간 취약한 프로토콜들을 제거하려고 노력해 왔지만, 내부망에서의 프로토콜들에는 상당히 무감각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기사에서는 고급 해커들의 기술들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그들은 누구도 다룰 수 없는 최신식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에서 취약한 부분을 잘 찾아내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는데,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사태에서만 봐도, 오래된 프로토콜인 SMB에서 발생했는데, 지금도 여전히 SMB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업 내부에서는 이보다 더 많은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중에는 이미 취약점이 충분히 발견되었으나, 기업의 사정에 의해 업그레이드 할 수 없는 프로토콜들도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프로토콜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천지차이이다. 기업 내부에서 어떤 프로토콜이 실행되고 있는지 파악하고, 가시성을 확보하여 위험에 대비하는 것이 급선무인 것이다.

실제로 기사에서도 해당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기업 내부에서 어떤 프로토콜이 실행되고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이를 은둔의 IT라고 부르기도 했다. 오래된 프로토콜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 내부의 프로그램이 파악된다면, 파악된 정보들을 토대로 회사 내에서 꼭 필요한 프로토콜이 아닌 이상 업그레이드하거나,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하지만 회사 내에서 꼭 필요한 경우, 다른 프로토콜로 교체를 검토하거나, 보안 대책을 추가로 세우는 등의 방법을 통해 위험을 감소시킬 수도 있고, 온프레미스가 아닌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하는 등 위험 전가 대책을 세울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위험 대책의 첫번째는 자원의 파악이다. 현재 어떤 식으로 기업의 IT 환경이 돌아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